<인간이 행복을 느끼는 이유>
일반적으로 인간은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이 인생의 목표로 생각합니다. 사람들은 행복하게 살기 위한 방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고민하지만 왜 인간이 행복을 원하는지는 잘 모릅니다. 행복은 인생의 최종 목적이 아닙니다. 다만 행복은 생존과 번식을 위한 필수적으로 필요한 정신적 도구입니다. 과학적으로 인간의 최종 목적은 생존과 번식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존과 번식은 옛 선조의 인생 목적이고, 현대인들은 더 고차원적인 목적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현대인들의 행동이 노골적으로 생존을 위해 다른 사람을 해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행복하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생존하기 위해 행복을 느껴야만 했습니다. 생존이 일차적인 욕구가 아니라 인생의 최종적인 목표이기 때문에 살아 남기 위해서 행복이 필요한 것입니다.
<돈과 행복의 관계>
돈은 비타민과 비슷한 특성이 있습니다. 비타민 섭취를 못하면 몸에 문제를 만들지만, 많이 비타민을 먹는다고 해서 몸이 훨씬 더 건강해지지 않습니다.
'이스털린의 역설(Esterlin's Paradox)'는 리처드 이스털린이 지적한 현상으로 돈이 많을수록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돈이 많으면 물질적인 욕구는 해결할 수 있지만, 돈으로 행복을 사는 것은 어렵습니다.
예일 대학 경제학자인 로버트 레인 교수는 50년간 미국의 가계소득은 약 2배가 증가했지만, 매우 행복하다고 답변한 사람은 1957년에는 53%, 2000년도에는 47%입니다. 소득 변화는 50년동안 증가했지만 사람들이 느끼는 행복은 약 50%대로 소득 증가에 상관없이 크게 변동이 없었습니다.
<작은 행복 vs 큰 행복>
행복은 빈도입니다. 아주 큰 행복보다 소소하지만 자주 행복을 느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행복을 통한 쾌락은 일시적이고 금방 사라지기 떄문에, 아주 큰 크기의 기쁨보다 작은 기쁨이 자주 반복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행복하려면 외향형 인간이 되라>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지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많은 학자들은 행복은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합니다. 즉, 행복은 상당 부분 그 사람이 어떤 성격을 가지느냐에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성격을 가져야 행복할까요?
바로 '외향적'인 성격입니다. 외향적인 사람은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고 사회성이 발달한 사람입니다. 한국의 경우, 행복한 사람들은 하루의 72%를 다른 사람과 함께 보내지만 불행한 사람은 혼자 있는 시간(52%)이 다른 사람과 함께 보내는 시간보다 더 많다.
그렇다면 선천적으로 내향적인 사람은 어떻게 행복해질까?
예상외로 연구 결과는 내향적인 사람들도 혼자 있을 때보다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더 행복감을 느낀다는 것입니다. 내향적인 성격이라고 해서 사람을 만나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아닙니다.
<물질 구매보다 경험 구매를 하라>
아주 비싼 명품 가방을 샀을 때, 가장 기분 좋을 때는 물건을 사고 매장을 나오는 순간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쾌락이 몇 년이 지나도 계속될까요? 물질 구매는 보통 혼자 쓰기 위해 구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뮤지컬 관람과 같은 경험 구매는 다른 사람과 함께 소비합니다. 그래서 경험 구매가 물질 구매보다 행복한 이유입니다. 결국 행복의 차이는 사람들과 함께 소비하고 그 과정을 즐기는 것입니다.
<스쿠르지가 행복하지 못한 이유>
돈은 남을 위해 쓸 때 더 행복해진다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당연히 내가 사용하기 위해서 돈을 쓰는 것이 더 행복감을 느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실험에서 남을 위해 돈을 쓸 때 금액에 상관없이 더 행복감을 느꼈습니다.
돈뿐만 아니라 시간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원봉사자들이 높은 행복감을 느끼는 이뉴는 시간이라는 자원을 타인을 위해 현명하게 쓰기 때문입니다.
<결론>
행복이 삶의 목적이 아니라 생존과 번식을 위한 유인책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행복의 핵심은 긍정적인 느낌을 일상에서 자주 느끼는 것입니다. 행복의 크기가 작더라도 작은 행복이 여러 번 반복되는 것이 아주 큰 행복을 한번 느끼는 것보다 좋습니다.
또한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수록 행복감이 올라갑니다.
인간은 생존과 번식을 위하여 행복을 유인책으로 이용하고, 행복을 위해서 사랑하는 사람과 행복한 시간을 자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