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부의 원천(The Source) - 타라 스와트

by 북블리 2022. 6. 29.
반응형

부의 원천-타라 스와트

<끌어당김의 법칙을 뇌과학적으로 입증하다!>

몇 년 전에 전 세계적으로 시크릿이라는 책이 대유행했었습니다. 시크릿의 내용은 한마디로 '끌어당김의 법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끌어당기는 생각만 하면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다는 생각에 열광하였습니다. 반면에 다른 사람들은 책의 내용을 믿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끌어당김의 법칙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마치 범죄현장에서 심증은 있으나 물증이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책의 저자인 타라 스와트는 끌어당김의 법칙을 뇌과학연구 및 신경학적으로 증명하였습니다. 그녀는 정신과 의삭이자 신경과학자로서 눈에 흔히 보이지 않는 현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서 눈에 보이지 않는 현상은 명상, 시각화, 끌어당김의 법칙 등이 있습니다.

 

<부의 원천을 읽게 된 이유>

나의 모닝루틴 중에 하나인 명상과 시각화를 과학적으로 증명해서 설명하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사실 명상을 시작하게 된 계기도 성공한 사람들의 루틴 중에 하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명상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여 명상과 시각화를 계속할 수 있는 동기가 될 거라고 생각하였습니다.

 

 

<운명을 통제하는 법>

책의 제목인 부의 원천(The source)은 '뇌'를 의미합니다. 부의 원천의 주요 목표는 뇌를 자동 조정 상태로 내버려 두지 않는 것입니다. 어떤 행동을 할 때 무의식적으로 늘 해오던 방식대로 아무런 비판 없이 행동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의식적으로 뇌를 작동하는 것은 '나 자신'이 되어야 합니다. 뇌가 깨어 있는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전두엽 피질을 자극시켜야 합니다. 티라 스와트는 뇌의 신경가소성으로 인간은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통제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신경가소성이란 어떤 행동을 자주 하면 뇌에서 시냅스가 형성되는데 그 경험과 관련된 신경회로가 뇌에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뇌의 신경 경로를 재배치하면 정신을 지배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입니다.

 

<메타인지>

그렇다면 어떻게 뇌의 신경 경로를 재배치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방법은 '메타인지'를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메타인지는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즉, 상위 개념으로 생각을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끌어당김 원칙의 6가지 핵심 원칙>

1. 풍요의 원칙

풍요의 원칙은 현재 가지고 있는 것에 감사하는 것이 기본이 됩니다. 이와 반대로 내가 가지지 못한 것에 집중하는 것은 결핍의 관점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풍요와 결핍은 물질적으로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같은 것을 보더라도 어떤 관점으로 보느냐는 결국 개인이 선택하기 나름입니다.

가진 것이 많다라고 생각할 때 긍정적인 느낌을 주어 좋은 일을 끌어당깁니다. 반면에 가진 것이 없다고 생각할 때 뇌는 두려움을 느낍니다. 이는 과거의 나쁜 기억을 회상하게 하고 성공보다는 실패에 더 집중하게 됩니다.

 

 

2. 실현의 원칙

나의 목표와 행동이 일치하면 자신이 원하는 모습을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시각화를 할 때에는 신체의 모든 감각을 이용하는 게 좋습니다. 그 이유는 뇌는 현실과 상상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기분 좋은 상상을 현실로 믿게 만드는 힘은 오감이 현실인 것처럼 그대로 느끼는 것입니다.

인간은 선택적 주의와 가치 부여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선택적 주의는 수많은 정보들 중에 자신에게 필요하고 관심이 있는 것만 걸려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테슬라 차를 갖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고 가정해봅시다. 이상하게 그 이후에 길거리에 테슬라 차를 많이 보게 됩니다. 실제로 그 차가 갑자기 많아진 것이 아니라 관심과 소망이 해당 정보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입니다.

가치부여는 뇌가 정보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결국 내가 원하는 것에 가치를 부여하느냐, 부정적인 것에 의존하느냐는 자동적인 것이 아니라 의식적인 행동입니다.

 

 

3. 자석같은 욕구 원칙

이 원칙은 긍정적인 감정이 더하면 더해질수록 좋은 일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부정적인 감정이 계속되면 실패만 하게 됩니다. 그 많은 자기 계발서에서 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지를 말하는 이유입니다. 단순히 긍정적인 생각이 기분적인 측면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의도적으로 긍정적인 기분을 만들면 좋은 일이 복리 이자처럼 쌓이게 됩니다.

 

 

4. 인내심의 원칙

인내심의 원칙은 목표에 대한 결과에 집착하지 말고 과정을 즐기는 것입니다. 우리가 인내심을 가지지 못하고 중간에 포기하는 이유는 결과가 빨리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목표를 이루는 과정 자체에 더 집중해야 합니다. 너무 먼 미래의 꿈을 이루는 것에 집중하게 되면 인간은 금방 지치고 포기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지금 하고 있는 행동이 당장 현실적으로는 아무런 변화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목표를 이루는 과정 속에서 우리는 1cm만큼이라도 매일 성장하고 있습니다.

목표에 너무 집착하지 않고 과저 자체를 즐기면 좋은 결과가 언젠가 이루어진다는 믿음을 가지고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조화의 원칙

마음과 몸은 연결되어 있습니다. 균형 잡힌 사고로 마음과 몸을 조화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긍정적인 생각이 최선의 선택을 만들려면 몸과 뇌에 온전히 집중해야 합니다.

 

6. 우주적 연결 원칙

모든 인간은 우주와 연결되어 있다는 원칙입니다. 이때 우주는 지구를 벗어난 공간이라기보다는 타인과 관계를 맺고 이타적인 동기를 가지고 서로 돕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서로 도우려는 욕구는 뇌의 공감 부분을 활성화하는 강력한 동기가 되기 때문입니다.

 

 

<추천 이유>

이 책은 추상적인 말로 적힌 자기계발서가 아닙니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삶을 바꾸는 방법을 뇌과학적인 측면으로 뇌의 새로운 신경 회로를 만드는 것입니다. 또한 이 책에서는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까지 제시하고 있어서 그대로 실천했을 때 어떤 변화가 생길지 궁금해집니다.

 

 

 

 

 

댓글